김행 사퇴로 집권 첫해 `제1호 인사' 모두 낙마
| 기사입력 2013-12-31 20:14 | 최종수정 2013-12-31 20:19
사의 표명한 김 행 청와대 대변인 (서울=연합뉴스) 김 행 청와대 대변인이 31일 사의를 표명했다. 김 행 대변인은 소셜네트워크 뉴스서비스 위키트리 부회장으로 재직 중이던 지난 2월 24일 윤창중 대통령직인수위 대변인과 함께 청와대 초대 대변인으로 내정됐다. 2013.12.31 << 연합뉴스 DB >> jeong@yna.co.kr
윤창중 이후 7개월여만…대변인 역할 축소로 자진사퇴 관측
(서울=연합뉴스) 박성민 기자 = 김행 청와대 대변인이 새해를 하루 앞둔 31일 전격 사퇴함에 따라 박근혜 대통령 집권 첫해 청와대 초대 남녀대변인 2명이 모두 낙마하게 됐다.
공교롭게도 박 대통령이 새 정부 청와대 비서관 가운데 가장 먼저 발표한 인사는 바로 대변인 2명이었다. 취임 하루 전날인 지난 2월24일 밤 윤창중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대변인과 김행 소셜네트워크 뉴스서비스 위키트리 부회장을 각각 남녀 대변인으로 내정했다.
하지만 인수위 시절 내내 '불통' 논란의 중심에 서 있던 윤 전 대변인은 오래가지 못했다. 새 정부 출범 석 달도 안돼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 기간 여성 인턴을 성추행한 의혹으로 전격 경질된 것.
사건 자체가 매우 선정적이라는 점에서 사회적으로 충격을 준 이 사건은 박 대통령의 첫 대국민사과를 불러왔고, 박 대통령의 취임 초기 '인사 파동'의 대표적 사례로 기록됐다.
이후 7개월 넘도록 김 대변인은 홀로 청와대 대변인 자리를 지켜왔다. 둥글둥글한 성격과 붙임성으로 언론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는 평가도 있었던 반면 일각에서는 이날 사퇴가 '예고된 수순'이라고 보는 시각도 제기됐다.
김 대변인이 '대통령의 입'으로서의 역할을 사실상 수행하지 못한 끝에 사퇴를 결심했다는 분석이 나오기 때문이다.
이남기 전 홍보수석이 '윤창중 사태'의 책임을 지고 물러나고 박 대통령의 '복심'으로 불리던 이정현 전 정무수석이 신임 홍보수석으로 자리를 옮긴 뒤 김 대변인의 역할이 눈에 띄게 위축됐던게 사실이다.
이 때문에 최근 청와대 안팎에서는 내년초 비서관급 이상 청와대 개편을 앞두고 김 대변인이 미리 사표를 던진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다만 김 대변인인 보도자료에서 "박근혜 정부 집권 1년차의 대변인직을 마치고 잠시 쉼표를 찍으며 재충전의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고 밝혔고, 꽤 오래전부터 여러차례 사의를 표명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이처럼 박 대통령이 비서관 가운데 처음 점찍은 대변인 2명이 집권 첫해를 넘기지 못하고 모두 낙마하면서 결국 박 대통령의 인사가 실패로 돌아갔다는 지적도 제기될 전망이다.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은 김 대변인의 사의를 받아들였으며, 후임 대변인을 물색하는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후임 대변인은 정부부처와 언론계 출신 등 인사 여러명이 하마평에 올라있는데, 남성 단독 대변인 체제로 갈 가능성이 높다는게 일반적 관측이다.
min22@yna.co.kr
+ 기사출처: 연합뉴스
+ 위 기사의 저작권은 해당 언론사에 있습니다.
'유용한 정보 > 펌|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승준 입국 금지 해제, 측근 “당장 한국 복귀 계획 없어...조심스럽다” (0) | 2014.01.01 |
---|---|
유승준 입국금지 해제, 국내 복귀 가능성? 누리꾼 ‘갑론을박’ (0) | 2014.01.01 |
'기황후' 하지원, MBC연기대상 대상..7년만에 2번째 대상(종합) (0) | 2014.01.01 |
주원, 커플상부터 최우수상까지…'KBS연기대상' 4관왕 (0) | 2014.01.01 |
정부, 내년 국가공무원 4160명 공개채용 선발 (0) | 2014.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