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프콘
[ Defense Readiness Condition ]
정규전에 대비해 발령하는 전투준비태세.
전투준비태세·방어준비태세라고도 한다. 모두 5단계로 나뉘며, 숫자가 낮아질수록 전쟁발발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감시태세인 워치콘(Watch Condition) 상태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전군(全軍)에 내려지는데, 데프콘 5는 적의 위협이 없는 안전한 상태를 말하고, 데프콘 4는 대립하고 있으나 군사개입 가능성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한국에는 1953년 정전 이래 데프콘 4가 상시적으로 발령되어 있다.
데프콘 3은 중대하고 불리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긴장상태가 전개되거나 군사개입 가능성이 있을 때, 데프콘 2는 적이 공격 준비태세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을 때 발령된다. 데프콘 1은 중요 전략이나 전술적 적대행위 징후가 있고, 또 전쟁이 임박해 전쟁계획 시행을 위한 준비가 요구되는 최고준비태세 때 발령된다.
한국의 경우 데프콘 3이 발령되면, 한국군이 가지고 있는 작전권이 한미연합사령부로 넘어가고, 전후방 부대의 움직임이 달라지며, 전군의 휴가·외출이 금지된다. 데프콘 2가 발령되면 전군에 탄약이 지급되고, 부대 편제 인원이 100% 충원된다. 데프콘 1이 발령되면 동원령이 선포되고, 전시체제로 돌입된다. 1999년 6월 15일 서해상에서 남북함정 교전사태가 발생했을 때, 데프콘 3에 준하는 전투준비태세강화 지시가 발령되기도 하였다.
참조항목
전쟁, 한미연합사령부, 코드 오렌지
역참조항목
공중방어, 워치콘
+ 출처: 두산백과
데프콘
[ defense readiness condition ]
정보감시태세인 워치콘의 분석결과에 따라 전군에 내려지는 전투준비태세로 5단계로 강도가 나뉘어짐
약어DEFCON
정보감시태세인 워치콘의 분석결과에 따라 전군에 내려지는 전투준비태세 돌입을 의미한다. 강도는 모두 5단계로, 숫자가 낮아질수록 전쟁발발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데프콘 5는 적의 위협이 없는 안전한 상태, 데프콘 4는 대립하고 있으나 군사개입 가능성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1953년 정전 이래 데프콘 4가 상시적으로 발령되어 있다. 데프콘 3은 중대하고 불리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긴장상태가 전개되거나 군사개입 가능성이 있을 때, 데프콘 2는 적이 공격 준비태세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을 때 내려지며, 데프콘 1은 전쟁이 임박한 최고준비태세 때 발령된다.
데프콘 3이 발령되면 한국군이 가지고 있는 작전권이 한미연합사령부로 넘어가고, 전군의 휴가ㆍ외출이 금지된다. 데프콘 2가 발령되면 전군에 탄약이 지급되고 부대 편제인원이 100% 충원되며, 데프콘 1이 발령되면 동원령이 선포되고, 전시체제로 돌입하게 된다. 1999년 6월 15일 서해상 남북함정 교전사태 발생 시 데프콘 3에 준하는 전투준비태세강화 지시가 내려진 바 있다.
+ 출처: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2012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토벤 바이러스 강마에게 즐겨 마시던 와인 - 에스쿠도 로호 (0) | 2013.02.12 |
---|---|
워치콘과 데프콘 비교 (0) | 2013.02.12 |
워치콘(Watch Condition)이란? - 한미 '워치콘' 2단계로 상향 조정…"북한 핵실험 가능성 높다" (0) | 2013.02.12 |
인공지진(man-made earthquake) 이란? - 북한 인공지진 발생, 정부 당국자, "북 핵실험 가능성 높아" (0) | 2013.02.12 |
롯데 자이언츠 타자 응원가 (0) | 201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