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워치콘(Watch Condition)이란? - 한미 '워치콘' 2단계로 상향 조정…"북한 핵실험 가능성 높다"


워치콘
[ Watch Condition ]

북한의 군사활동을 추적하는 정보감시태세로서 평상시부터 전쟁 발발 직전까지를 5단계로 나누어 발령한다.
워치 컨디션(Watch Condition)의 약칭이다. 북한의 군사활동을 추적하는 정보감시태세를 말하며, 평상시부터 전쟁 발발 직전까지 5단계로 나누어 발령한다. 1981년부터 운용되었으며, 평상시에는 4단계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황이 긴박해질수록 낮은 숫자의 단계로 격상된다. 이때 격상 발령은 한국과 미국 정보당국간의 합의에 따라 이루어진다.

워치콘5는 징후 경보가 없는 일상적 상황, 워치콘4는 일상적 생활을 하고 있으나 잠재적 위협이 존재하여 계속 감시할 필요가 있는 상태를 말한다. 워치콘3은 국가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상황으로서 정보요원의 근무를 강화하고 전원이 정위치에서 근무하거나 대기하며 적정(敵情)을 주의 깊게 감시한다. 워치콘2는 국익에 현저한 위험을 초래할 징후가 뚜렷한 상황, 곧 북한의 도발위협이 심각하여 비상태세를 갖추고 첩보위성의 사진정찰과 정찰기 가동, 전자신호 정보수집 등 다양한 감시와 분석 활동을 강화한다. 최고 단계인 워치콘1은 적의 도발이 명백한 상황에 발령한다.

워치콘3은 1992년 10월 북한이 모든 남북대화를 중단하고 준전시 상태를 선포하였을 때 발령되었으며, 한미연합사령부는 북한의 도발이 언제라도 가능한 한반도의 분단 상황을 고려하여 평상시에도 워치콘3을 발령하고 있다. 워치콘2는 1982년 2월 북한이 IL-82 폭격기들을 전진배치하였을 때, 1996년 4월 5일 북한이 판문점에 무장병력을 투입하였을 때, 1999년 6월 제1연평해전(서해교전)이 발발하였을 때, 2006년 10월 북한이 1차 핵실험을 하였을 때 그리고 2009년 5월 북한의 2차 핵실험 강행과 미사일 발사 등으로 한반도의 위기 상황이 고조되었을 때 등 모두 5차례 격상되었다. 워치콘1은 정전 이후 한 번도 발령된 적이 없다.

한편, 전투준비태세 또는 방어준비태세를 뜻하는 데프콘(Defence Readiness Condition)은 워치콘의 발령 상태에 따라 격상을 검토하지만 워치콘 격상에 따라 직접 연동하지는 않는다. 1999년 제1연평해전이 발발하여 워치콘2가 발령되었을 때, 서해 현장 부근의 육군·해군·해병 부대들은 데프콘3에 준하는 전시준비태세를 갖추었다. 그러나 2009년 5월 북한이 2차 핵실험을 강행하여 워치콘2로 격상되었을 때는 경계강화태세인 데프콘4를 유지하였다.
참조항목
제1연평해전, 데프콘

+ 출처: 두산백과  



워치콘

[ Watchcon , Watch Condition ]

워치콘(Watchcon)은 'Watch Condition'의 약칭이다. 이는 북한의 군사활동을 감시하는 대북 '정보감시태세'를 말하며 전투준비태세인 '데프콘'과는 다른 개념이다. 워치콘은 평상시엔 ‘4' 수준에 있다가 위기가 높아질수록 3,2,1로 단계적으로 높아진다. 


워치콘의 단계가 높아질수록 감시수단인 첩보위성 조기경보기 정찰기 등의 출격횟수가 많아지고 정보분석요원도 늘어난다. 워치콘의 단계별 격상은 한미양국의 정보당국간 합의에 따라 이뤄진다. 북한을 감시하기 위해 동원되는 장비는 대부분 미군 소유이므로 워치콘 격상을 위해서는 한미 양국군 정보당국의 합의가 있어야 한다. 


'워치콘 2'는 적의 현저한 위협징후가 보일 때 발동되는 고도의 정보 감시태세로 평시의 최고수준이다. '워치콘 1'은 적의 도발이 명백할 때 내려진다.


- 워치콘 5 : 일상적인 상황으로 징후경보에 전혀 문제가 없는 상태이다.

- 워치콘 4 : 잠재적인 위협이 존재하는 상황으로 일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으나, 계속적인 감시가 요구되는 상태이다.

- 워치콘 3 : 국가안보에 중대한 위협이 초래될 우려가 있을 때 발령되는데, 이 단계에서는 정보요원의 근무가 강화되고 적정을 주의깊게 감시하게 된다. 

- 워치콘 2 : 우리의 국익에 현저한 위험이 초래될 징후가 보일때 발동되며, 이때 첩보위성의 사진정찰, 정찰기 가동, 전자신호 정보 수집 등 다양한 감시 및 분석활동이 이루어진다. 

- 워치콘 1 : 적의 도발이 명백할 때 내려지는데, 정전이후 아직까지 발령된 적이 없다. .


■ 발령 사례


1982년 2월부터 약 한달간 북한의 IL-28 폭격기들이 전진 배치되고 북한 전역에서 공군훈련이 시작되자 워치콘 2가 발령된 적이 있다. 또 1992년 10월 북한이 남북대화 중단을 선언하고 준전시상태를 선포함에 따라 대북 정보감시태세를 워치콘4에서 워치콘3로 격상시켜 운용한 바 있다. 


그리고 1999년 6월의 연평해전 시 워치콘 2가 발령되었으며 이후 워치콘 3을 유지하다가 2006년 북한의 1차 핵실험으로 워치콘 2가 발령되었다. 이후 2009년 북한의 2차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시험으로 워치콘 2로 격상되었으며 2012년 현재 워치콘 3을 유지하고 있다.


+ 출처: 시사용어사전, 2005




워치콘

[ watch condition ; watchcon ]

북한의 군사 활동을 추적하는 정보감시태세로 5단계 등급으로 이루어져 있다. 워치콘 Ⅴ는 일상적인 상황으로 징후경보에 전혀 문제가 없는 상태이다. 워치콘 Ⅳ는 잠재적인 위협이 존재하는 상황으로 일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으나, 계속적인 감시가 요구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워치콘 Ⅲ는 국가안보에 중대한 위협이 초래될 우려가 있을 때 발령되는데, 이 단계에서는 정보요원의 근무가 강화되고 적정을 주의 깊게 감시하게 된다. 워치콘 Ⅱ는 우리의 국익에 현저한 위험이 초래될 징후가 보일 때 발동되며, 이때 첩보위성의 사진정찰, 정찰기 가동, 전자신호 정보수집 등 다양한 감시 및 분석활동이 이루어진다. 워치콘 Ⅰ은 적의 도발이 명백할 때 내려지는데, 정전 이후 아직까지 발령된 적이 없다. 한국군과 주한미군은 평상시 Ⅳ등급을 유지하고 있으나 상황이 긴박해지면 점차 Ⅲ, Ⅱ, Ⅰ 등급으로 정보감시태세의 단계가 올라간다. 워치콘의 단계 격상 발령은 한?미 양국 정보당국간 합의에 따라 이뤄지며, 단계가 높아질수록 정찰기 등 첩보수집 수단이 보강되고 정보 분석요원도 늘어난다.


+ 출처: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