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한 장의 명반>을 들고 레코드 가게에 가서 ‘모두 구해 주시오’라는 사람이 있었다는 말을 들었을 때 정말 슬펐다. 이 책의 의미는 이제 시작하는 사람들이 내가 본 손해를 똑같이 보지 말라는 것일 뿐, 무조건 따라오라는 것은 아니다.” 안교수는 음악을 받아들이는 최고의 명기는 바로 자기 자신이라고 역설한다. 그는 또 음악을 배우기보다 라디오를 통해 먼저 익숙해지고, 먼저 자기 마음에 드는 음악을 들으라고 권유한다. - 시사저널
'유용한 정보 >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대중음악의 현재-01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1 : 음반리뷰 (0) | 2013.02.16 |
---|---|
한국 대중음악의 현재-02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2 : 인터뷰 (박준흠) (0) | 2013.02.16 |
[안동림 - 이 한장의 명반] 카잘스의「무반주 첼로 조곡」 발견 (0) | 2013.02.16 |
배철수의 음악캠프 20년 그리고 100장의 음반 : 레전드 (100장의 음반 목록) (0) | 2013.02.16 |
[우리시대 명반ㆍ명곡] 주찬권 솔로 1집(1988년) (0) | 2013.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