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이야기/열린 영문법

명사의 속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관사정복의 시작이다

‘명사.’의 속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관사정복의 시작이다 ‘대중, 공중’을 뜻하는 public 이란 단어가 포함된 예문들을 보면 한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a public 보다는 the public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 관사는 언제나 ‘나’를 중심으로 해서 내가 관련을 맺고 있는 환경, 인물들과 그들이 살고 있는 세상 속에서 그 존재의의를 지닌다. 왜 a public 보다 the public 의 출현빈도가 높을까? 해답은 public이란 단어의 성격, 속성에서 찾을 수 있다. 보통 정치인들이 그들의 수사 속에서 ‘대중’이란 말을 꺼낼 때, 그것은 일반적인 의미의 대중, 즉 사전 속에 정의된 그 대중(public)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그 정치인들에게 한 표를 던지고 나중에 그들에게 배신과 정치적 배신과 사기를 당하는 그 ‘대중’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하기에 보다 무척이나 구체적이고 한정적이다. the public 이다. 사실 이 부분은 <챕터 xx>에서 언급한 내용과 겹친다. 다시 한 번 더 다지고 넘어가는 의미에서 몇 가지 예를 더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정부’를 뜻하는 government 역시 마찬가지다. a government 의 형태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 늘 the government 로 쓰인다. 미국인들이 government라고 하는 것은 미국의 정부, 보다 구체적으로 8년 동안 지속되었던 부시 정부, 2009년 출범한 오바마 정부, 그리고 힐러리의 남편인 빌 클린턴이 대통령 자리에 있던 바로 그 정부를 지칭하는 것이기에 일반적인 의미의 a government와는 그 의미가 다르다. 따라서 미국인들이 정부에 대해 언급을 하고 불만을 터뜨리거나 정부를 상대로 요구를 할 때는 자연스럽게 the government 가 된다. 반대로 말을 바꿔, 대학에서 ‘정치학 개론’에서 교수님이 “오늘은 현대 정치에서 ‘정부의 역할’에 대해 배워봅시다.”라고 한다면, 이 경우엔 a government 가 된다. 일반적인 의미의 정부, 즉 사전적 의미의 정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래의 경우엔 얘기가 달라진다. 아래 짧은 예문은 미국의 진보적 언론 사이트인 허핑턴포스트(http://www.huffingtonpost.com/)에 실린 오바마의 대통령 취임사에 달린 댓글 중 하나이다. 앞에서는 the가 붙어있고 뒤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그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면 더 이상 관사 공부할 필요 없다. 책을 덮어도 좋다. 아래 예문에서 앞부분에 등장한 the government 는 미국 정부를 가리킨다. 그리고 뒤에서 언급한 정부는 미국 정부가 아닌 일반적인 정부의 역할에 대해 말하고 있다. 쉽게 말해 ‘정부’라는 대상이 아닌 ‘개념’으로서의 정부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이다. 현 정권인 미국의 오바마 정부는 물론이요, 이전 부시 정부는 물론이요, 대한한국의 이명박 정부를 포함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모든 형태의 크고 작은 정부를 포함한다. 지극히 포괄적이다. 따라서 관사 없이 the role of government라고 하고 있는 것이다. 비록 짧은 예문이긴 하지만, 관사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강력한 예문이다. 


When the levees broke, the government was supposed to act, that was a national disaster. What is the role of government? Just wars and bailouts and taxing?


South Korea called the launches a provocative act, according to a government statement.



1) government : 사전 속에 검게 인쇄되어 있는 ‘정부’를 뜻하는 단어, 정부라는 개념의 단어 그 이상, 이하도 아니다.
2) a government : 우리들 머릿속에 그려지는 하나의 ‘대상’이다. 한국 정부, 미국 정부 등등 모든 형태의 정부를 포괄적으로 일컫는다.
3) the government : 2)번에 포함된 정부 중 하나이다.
4) our government : 3)의 의미에서 보다 명확히 의미를 전달한다. 우리들에겐 ‘한국 정부’, 미국인들에겐 ‘미국 정부’가 될 것이다.





국가, 나라를 의미하는 country 역시 동일선상에 있다. 우리들이 일상 대화 속에서, 또는 정치인들이 그들의 수사 속에서 자주 언급하는 country 의 경우 정관사와 자연스럽게 결합하게 된다. 그들이 말하고자 하는 국가는 자신이 속한 그 나라이기 때문에 the country가 된다. 보편적인 국가가 아니라.


그렇다면 law 는 어떠할까. 오바마(Obama)가 “국민 여러분, 미국 국민이라면 반드시 법을 지켜야만 한다.”라고 설파한다면, 그 법은 ‘보편적’ 의미의 법일까, 아니면 미국인들이 따르고 지켜야 하는 개별적이고도 특수한 ‘미국法’을 말하는 것일까? 이명박 대통령이 “국민 여러분 법을 지킵시다.”라고 연설한다면 그 ‘법’은 어떤 의미를 지닐까? 대한민국 법일까? 미국의 법일까, 아니면 인류가 만들어 낸 법이란 그 대상일까? 이것은 관사의 범위를 넘어 ‘명사’의 개념을 잡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 단지 형식적인 분류가 명사의 성격, 본질에 대한 탐구이며, 이러한 개별 명사들의 특징을 잘 알아두면 관사를 익히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미국 대통령이나 정치인들의 연설문을 분석해 보면 사실상 the law로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a law보다는 보다 범위가 제한적이고 구체적인 the law를 사용한다. 미국 대통령 선거에 참가한 후보자들이나, 미국 현직 대통령이 언급하는 법은 사실상 ‘미국인들에게 구속력이 있는 미국법’이다. 그러하기에 the law가 자연스럽다. 하지만 법이란 단어의 성격상 그 포괄적인 성격 역시 무시하지 못한다. (미국법)을 잘 따라야 한다는 말은 결국 법 일반에 대한 내용이다. 이 부분이 law와 government 사이의 차이점이라면 차이점이랄까. 한번 두 단어의 사전적 풀이가 아닌 본질적 의미를 놓고 고민해 보자.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이 있다. 2008년 9월 24일 부시는 미국이 당면한 경제위기를 놓고 국민들에게 (형식적이나마) 힘도 불어 넣어주고 경제상황도 인식시켜 줄 겸 특별 성명을 발표했다. 그런데 여기서 부시는 ‘경제(economy)'를 언급할 때, 철저히 our이란 소유형용사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아래에서 our 은 the로 바꿔도 의미전달에 아무 문제가 없다. 하지만 our이란 소유격을 사용함으로써 국민들에게 다른 누구의 문제도 아닌 바로 미국과 미국에 사는 미국인들이 지금 처한 상황을 강조하는 효과가 있다. 의도적으로 부시가 the 대신 our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부시의 평소 어휘 습관 중 하나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our economy가 무척 자주 등장한다.


How did we reach this point in our economy? 
The decline in the housing market set off a domino effect across our economy. 
And it gives our economy the flexibility and resilience to absorb shocks, adjust, and bounce back. (모두 부시의 말)


http://www.nytimes.com/2008/09/24/business/economy/24text-bush.html?_r=1&pagewanted=print (부시 연설)


우리들은 우리말 속에 관사가 없다, 그래서 관사가 어렵게 느껴진다고 불평하기 바쁘다. 대통령이 경제를 놓고 연설을 하면서 경제를 살리자는 말을 수백 번도 더 하지만 그 어디에도 관사는 찾아 볼 수 없다. 하지만 결국 대한민국 대통령이 말하는 경제는 한국 경제이며, 한국 경제 중에서도 바로 지금 우리나라가 처한 경제현실을 의미하는 것이다. 설령 연설에서 “국민 여러분, 지금 경제가 어렵다. 경제를 살립시다.”라고 말을 해도 당연히 그 말 속에는 정관사 “the”가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즉 the economy 가 맞다.



조금 더 머리를 복잡하게 만들어 보자. 아래 예문에서는 왜 부정관사인 an이 사용되었을까? 참고로 미국인 출연자가 한 말이다. 경제 위기를 언급하는 것 역시 사실상 미국의 경제위기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구체적 상황을 언급할 때 사용하는 the가 붙어서 the economic crisis 가 되어야 할 것 같은데.. 아래와 같이 an economic crisis 로 말하고 있다. 왜 그럴까?

This is an economic crisis.


위 예문에서 부정관사가 붙은 것은 뒤에 나온 ‘위기(crisis)'란 명사 때문이다. 즉 정치, 사회적 위기 등등 온갖 위기 중에서 ’경제적 위기‘란 말이다. 만약 ’정치 위기‘라면 a political crisis 라고 말할 것이다. 관사를 학습할 때는 언제나 문맥 속에서 그 관사의 의미와 존재를 찾으려고 노력해야 한다. economy란 단어가 일반적으로 the와 결합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수밖에 없지만 위 예문처럼 ’경제(적) 위기‘를 뜻할 때는 부정관사가 결합하게 된다. 만약 이 위기가 이미 우리가 90년대 후반 겪었던 IMF 라고 한다면 지금 우리들은 아마도 정관사 the 를 붙여서 the economic crisis 라고 부르면서 그때를 회상하고 있을 것이다. 많고 많은 경제위기 중에서 IMF 시절이란 특정한 대상을 가리키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