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이야기/미디글리쉬

enforced sex slaves - UN 인권위원회, 위안부 대신 강제 성노예로 부르도록 권고






The UN Human Rights Committee has questioned Japan over its military’s use of sex slaves in World War Two.This was during a consideration of Japan’s periodic report on its implementation of an international treaty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Committee experts said the system of institutionalized sex slavery used by the Japanese Army, has been described as the most compelling example of the crime of sexual slavery and denial of justice to victims. They also said that in an official apology made in 1993, Japanese authorities committed to squarely face the historical facts and take them as lessons of history. Now it was time for Japan to take the first lesson, by replacing the euphemism "comfort women" with "enforced sex slaves". But the Japanese delegation replied that the term "sexual slaves" was not appropriate, and the forceful nature of the use of "comfort women" had been partly recognized, adding that Japan did not consider this as a slavery issue.



위원회는 또 '위안부'라고 우회적으로 부르는 대신 '강제 성노예'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게 적절하다고 권고했다. 이는 우익 세력 등이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부정하는 것 등을 고려해 용어 자체로 강제성을 명확하게 드러내야 한다는 취지로 보인다. '위안부'(慰安婦, comfort women)라는 용어가 강제적인 동원 방식이나 제도의 폭력성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고 피해자가 자발적으로 나섰다는 오해를 낳는다는 비판이 그간 제기돼 왔다. - 출처: 연합뉴스



'위안부'의 영어표현은 sex slavery 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가 이 표현 대신 위안부(慰安婦, 말 그대로 comfort women에 해당한다)란 용어를 우회적으로 사용하다 보니, '위안부(성노예)' 문제를 다룬 국내 언론 기사에서도 '위안부'란 표현이 일반적이었다. 어제 UN이 일본 정부를 향해 '위안부' 대신 '강제 성노예(enforced sex slaves)'로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고 권고했다고 한다. sex slaves 에서 한걸음 더 나아간 표현으로, 보다 본질적으로 '위안부(성노예)' 문제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